글
왜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로 작품을 집필하느냐에 대한 사무엘 베케트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.
"모국어가 아닐 경우 그 언어만의 독특한 뉘앙스를 정확히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느낌이 애매해져서 좋다."
초현실주의 희곡으로 유명한 그 답다고나 할까.
아시다시피 사무엘 베케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<고도를 기다리며> :)
덤으로 이오네스코의 한마디.
왜 <대머리 여가수>의 제목을 그렇게 지었는가에 대한 이오네스코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.
이 작품에 대머리 여가수가 한 번도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.
포스트 모더니즘 예술작품을 다시 접하게 되면서... 이런 일화들을 자꾸 떠올리게 된다.
역시 학교는 나 같은 사람한테도 이미 박제가 되어 버려서 더 이상 살아있는 흔적도 없는 예술혼 나부랭이를 끄집어내는 좋은 공간이다.
그러니까 글을 쓰고 싶다면 그런 걸 자극해주는 교양강의를 챙겨들읍시다!
(공연예술의 이해 - 무용가 안은미 선생님의 특강을 듣고 난 뒤에 붙이는 잡상)
"모국어가 아닐 경우 그 언어만의 독특한 뉘앙스를 정확히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느낌이 애매해져서 좋다."
초현실주의 희곡으로 유명한 그 답다고나 할까.
아시다시피 사무엘 베케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<고도를 기다리며> :)
덤으로 이오네스코의 한마디.
왜 <대머리 여가수>의 제목을 그렇게 지었는가에 대한 이오네스코의 답변은 다음과 같다.
이 작품에 대머리 여가수가 한 번도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.
포스트 모더니즘 예술작품을 다시 접하게 되면서... 이런 일화들을 자꾸 떠올리게 된다.
역시 학교는 나 같은 사람한테도 이미 박제가 되어 버려서 더 이상 살아있는 흔적도 없는 예술혼 나부랭이를 끄집어내는 좋은 공간이다.
그러니까 글을 쓰고 싶다면 그런 걸 자극해주는 교양강의를 챙겨들읍시다!
(공연예술의 이해 - 무용가 안은미 선생님의 특강을 듣고 난 뒤에 붙이는 잡상)
'무거운 이야기 > 글문학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글 쓸 때 피하고 싶은 것들 (7) | 2005.04.23 |
---|---|
Heaven's Feel (5) | 2005.04.18 |
行って來ます, 行ってらっしゃい, ただいま, お歸りなさい (4) | 2005.03.18 |
밀가루와, 체에 거른 밀가루는 같은 밀가루인가 (4) | 2004.12.22 |
조바심을 내는 그대에게 (7) | 2004.12.19 |
RECENT COMMENT